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병원과 의원 차이점

by im_ 2022. 7. 6.
반응형

우리가 아플 때 감기 같은 가벼운 증상이면 집 근처 가까운 병원으로 갑니다. 하지만 중증의 증상이면 검색도 하고 찾아보고 가게 되는데요. 환자를 치료한다고 같은 병원이 아닙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병원과 의원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원과 의원 차이점

병원과 의원은 환자를 치료해 주는 기본 기능은 같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병원과 의원은 병상 수에 따라 구분하게 됩니다. 병상이 30개 미만이면 의원이고, 30개 이상이면 병원이고, 100개 이상이면 종합 병원으로 분류됩니다. 

 

 

 

이런 분류는 임의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법에 의해 법으로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을 드리면 의원은 병상 수가 30개 미만으로 비교적 작은 규모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를 보는 곳입니다. 의원은 1차 의료기관으로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등이 여기 속합니다.

 

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고 주로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를 보는 곳입니다. 외래 진료도 하지만, 간단한 수술로 입원을 하는 곳으로 병상수라는 게 환자용 침대 개수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규모가 갖추어진 병원입니다. 이곳이 2차 의료기관으로 분류되는 곳입니다.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종합병원 등이 여기 속합니다. 

 

전문의 일반의

병원과 의원 이외에도 또 하나 알아두면 좋은 게 전문의와 일반의를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의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를 합격하여 면허증을 취득한 사람입니다. 전문의는 일반의가 전공과목을 선택한 후 인턴 1년에, 레이던트 보통 4년의 수련 과정을 마치고 해당 전공과목의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여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의사힙니다. 

 

일반의인지 전문의인지 간판으로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일반의 의원에는 고유 명칭에 전공과목 표시가 없고, 전문의 의원은 간판에 전문 과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드리겠습니다.

 

일반의 의원 간판 예 전문의 의원 간판 예
뽀로로 의원 뽀로로 가정의학과 의원
뽀로로 치과의원 뽀로로  치과교정과 치과의원

일반의, 전문의 모두 다 전공은 아니더라도 다른 진료과목을 진료할 수는 있습니다. 가벼운 증상이면 크게 신경 안 쓰고 갈 수도 있지만 심각한 상황이라면 당연히 전문 과정을 거친 전문의가 훨씬 믿음이 가겠지요.

 

오늘은 알아두면 유용한 병원과 의원, 전문의 일반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